세미나2025 (주)사운드솔루션 기술세미나

조회수 55

세계적인 음향 브랜드들의 최신기술을 한 자리에서 만나다 

by 구현모 기자, 자료제공: (주)사운드솔루션 


지난 3월 4일과 5일, 양일 간 서울 강동구 호원아트홀에서 ‘(주)사운드솔루션 기술세미나’가 열렸다. 


지난 3월 4일과 5일, 양일 간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호원아트홀에서 ‘(주)사운드솔루션 기술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주)사운드솔루션 기술세미나는 RF 장비부터 마이크, 믹싱콘솔, 스피커에 이르기까지 프로페셔널 음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다루었으며, Midas, STAGETEC, Wisycom, DPA, RCF, TT+ Audio 등 세계적인 프로페셔널 음향 브랜드들의 다양한 신제품과 최신 기술을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취재진이 방문한 첫 날에는 약 150여 명의 참가자가 방문하여 호원아트홀이 가득 차며 높은 관심을 실감할 수 있었다. 


(주)사운드솔루션 이홍 대표 


사단법인 무대예술전문인협회 도명호 이사장


본격적인 세미나 시작에 앞서 (주)사운드솔루션 이홍 대표는 “좋지 않은 날씨에도 참석해주셔서 감사하다”며 인사말을 전했다. 이어 “(주)사운드솔루션 임직원들이 최선을 다해 세미나를 준비했으며, 해외 브랜드 엔지니어들도 직접 참여해 발표한다”면서, “참석자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사단법인 무대예술전문인협회 도명호 이사장이 축사를 통해 공연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 우리는 공연 예술과 첨단 기술이 융합되는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몰입형 공연, 메타버스 공연, AR·VR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무대 공연 그리고 관객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인터랙티브 공연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공연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음향 기술의 혁신 역시 필수적입니다. AI 기반의 시스템, 공간 음향, 360도 서라운드 기술은 공연의 몰입도를 극대화하며, 개별 맞춤형 청취 경험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제 공연의 퀄리티는 기술과 예술이 얼마나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특히, Z세대와 α세대를 중심으로 공연의 소비 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단순한 관람을 넘어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무대 기술과 연출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공연 형식이 필수적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주)사운드솔루션은 단순한 기술 제공을 넘어 공연 예술과 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는 역량있는 기업으로, 공연 기술의 미래 방향을 정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는 도전과 어려움이 따르겠지만, 우리 모두가 강한 연대를 통해 공연과 음향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이에 다양한 기술 변화를 배우고 적응하면서, 새로운 고객의 요구에 대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주)사운드솔루션 최원석 실장이 Midas와 STAGETEC 브랜드의 주요 제품을 소개했다. 


Midas와 STAGETEC을 살펴보다 

첫 번째 세션은 (주)사운드솔루션 최원석 실장이 Midas와 STAGETEC 브랜드의 주요 제품을 소개했다. 최원석 실장은 “Midas 콘솔은 많은 사람에게 익숙하지만, STAGETEC 콘솔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브랜드”라고 설명하며, “세미나 현장에 Midas Heritage HD 96-16과 STAGETEC AVATUS 모델을 설치해놓았다”고 덧붙였다. 최원석 실장에 따르면, 현재 Midas Heritage 라인업에는 HD 96-24 모델이 출시되어 있으며, HD 96-16과 Neon, Air 모델이 추가로 출시될 예정이다. Heritage 콘솔은 96kHz 샘플링을 지원하며, 64비트 플로팅 포인트를 기반으로 풀 프로세싱이 가능하다. 마이크 입력은 144개, AUX는 96개, 매트릭스는 24개, 마스터 출력은 LRC 구성으로 설계됐다. 또한, 32개의 멀티밴드 컴프레서와 다이나믹 EQ, 96채널 FX 랙을 제공한다. 

HD 96-24와 HD 96-16은 동일한 DSP 처리 용량을 갖고 있으며, HD Air도 같은 DSP 성능을 유지하지만 페이더가 없는 점이 차이점이다. HD Neon은 DSP 용량을 줄여 휴대성을 높인 모델로, 인풋 채널 72개, AUX 64개, 매트릭스 16개를 지원한다. 핵심 기능은 동일하지만, 가격을 고려해 일부 기능이 조정된 모델도 출시될 예정이다. 

Heritage 콘솔은 24개의 FX 슬롯을 갖추고 있으며, 스테레오 채널 기준으로 96개의 FX를 사용할 수 있다. TC Electronic 스타일의 고품질 리버브인 시스템 6000이 내장되어 있으며, MD4 플러그인과 레이크 프로세서도 포함된다. 레이크 프로세서는 MESA EQ 기능을 제공해 라이브 환경에서 활용도가 높다. 이 콘솔은 네 가지 타입의 컴프레서를 지원하며, VCA 방식과 진공관 방식의 다양한 컴프레서를 제공한다. 또한, 다이나믹 EQ는 128채널을 지원하고, 32개의 멀티밴드 컴프레서를 통해 세밀한 음향 조정이 가능하다. 

Midas의 입출력 장치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마이크 입력을 두 개의 출력으로 분배하는 스플리터 타입의 I/O이며, 다른 하나는 고정된 입출력 구성을 갖춘 DL 시리즈다. 다양한 채널 구성을 갖춘 여러 모델이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디지털 콘솔과의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Dante, MADI, USB 2.0 등 다양한 오디오 인터페이스 카드를 제공하며, 구형 PRO 시리즈 콘솔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세미나 현장에는 STAGETEC AVATUS가 설치됐다. 


STAGETEC, 최고의 안정성을 필요로 하는 현장에서 활약하다 

STAGETEC은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활발하게 사용되는 브랜드로, 특히 방송국 및 대규모 라이브 이벤트에서 신뢰받고 있다. AVATUS는 터치스크린, 컨트롤 노브, 페이더 블록이 조합된 구조로 최소 한 개의 베이부터 최대 여덟 개의 베이까지 확장할 수 있다. 스탠다드 모델은 터치스크린, 컨트롤 노브, 페이더 블록이 포함된 구성이며, 보다 간소화된 미니 모델과 컨트롤 노브 없이 터치스크린으로만 조작하는 컴팩트 모델도 있다. AVATUS는 최신 디지털 콘솔 설계 방식을 반영해 터치스크린 중심의 조작 환경을 제공하며, AURUS와 CRESCENDO 모델은 보다 아날로그 감성이 강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STAGETEC은 약 30년 전, 노이만(Neumann)에서 근무하던 엔지니어들이 독립해 설립한 회사다. 초기에는 I/O 장비 개발을 시작으로 넥서스(NEXUS)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단순한 I/O 장비를 넘어 고급 매트릭스 시스템으로 발전시켰다. 넥서스 시스템의 핵심 기술은 ‘트루 매치 마이크 프리(True Match Mic Pre)’로, 다이내믹 레인지 157dB를 제공하며, 화이트 노이즈를 극단적으로 줄였다. 또한, 독립적인 게인 컨트롤 방식을 적용해 최적의 마이크 프리 증폭 경로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기술을 통해 다양한 브랜드의 콘솔과 연동할 수 있으며, Dante, MADI 등의 프로토콜을 활용해 여러 오디오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 

넥서스 시스템은 모듈형 설계를 적용해 필요에 따라 입출력 구성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콘솔 없이 I/O 장비 간 광케이블만 연결하면 거리에 상관없이 오디오 전송이 가능하며, 링 구조나 메시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어 안정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대형 스포츠 이벤트, 방송국, 디즈니랜드, NASA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STAGETEC 콘솔은 유로송 콘테스트, 중국 CCTV 방송국, 베이징 올림픽 등에서도 활용되었으며, 라이브 및 방송 환경에서 높은 신뢰도를 인정받고 있다. 넥서스의 컴팩트 모델은 소규모 공연 및 클래식 연주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태블릿이나 PC를 통한 원격 제어 기능도 지원한다. 


Wisycom의 Bryan Lee 아시아 영업 총괄이 발표하고 있다. 


Wisycom, 최고의 안정성과 성능을 갖춘 무선 오디오 솔루션

두 번째 세션은 Wisycom의 Bryan Lee 아시아 영업 총괄이 브랜드 소개와 주요 제품을 설명했다. Bryan Lee 아시아 영업 총괄에 따르면, Wisycom은 이탈리아에 본사를 둔 글로벌 RF 전문 기업으로, 고품질 무선 오디오 전송 장비를 설계 및 제조하고 있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옵티컬 전송 시스템, 무선 마이크 시스템, 안테나 분배기,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시스템 및 관련 액세서리가 있다. Wisycom의 장비는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무선 통신을 유지하며, 방송국, 공연장, 스포츠 경기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RF 솔루션을 제공한다. RF 기술 분야에서 3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방송, 라이브, 로케이션 사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오디오 장비의 세계 시장에서 주요 업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모든 제품은 이탈리아에서 100% 제조하여 품질과 내구성을 보장하며, 혁신과 최고의 품질에 중점을 둔 Wisycom의 엔지니어 팀은 최신 기술 도구와 가장 진보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마이크, IFB/IEM, 리포타주(Reportage) 시스템을 위한 가장 정교한 RF 솔루션을 설계하고 있다. 

Wisycom의 제품 라인업은 스튜디오 방송과 아웃사이드 방송, 극장, 라이브 그리고 로케이션 사운드로 나눌 수 있다. 무선 마이크 및 인이어 안테나에는 ADB2, ADFA, LFA, LBNA2, LBN2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은 공통적으로 정확한 신호 전송을 보장한다. 컴팩트한 크기에도 넓은 주파수 대역폭과 높은 게인 값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ADB2, ADFA는 무 지향성 안테나이고, LFA와 LBNA2, LBN2는 지향성 안테나이다. 특히 인이어용 전용 LBP 엑티브 안테나가 있어 각각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목적에 맞춰 사용하면 되고 전체 공간을 고르게 커버하고자 한다면 공간의 양 사이드 끝에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면 효과적으로 공간을 아우를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서울 월드컵 경기장, 고척 스카이돔 등 대형 공연장에서 안정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SM타운 콘서트와 임영웅 콘서트와 같은 대형 공연에서도 문제없이 사용된 사례가 있으며, 이는 Wisycom 제품의 높은 신뢰성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주)사운드솔루션 조재우 실장(맨 왼쪽)이 참가자들에게 Wisycom 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프로페셔널 음향 환경에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하다 

Wisycom의 무선 오디오 솔루션은 전세계 많은 사용자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지만, 특히 인이어 모니터(IEM)은 경쟁상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뛰어난 성능과 컴팩트한 크기로 많은 사랑을 받는다. 인이어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는 MTK982 송신기와 MPR50-IEM 수신기는 대규모 콘서트 및 방송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방송 스튜디오에서는 MTK982의 AES3 디지털 입력을 활용해 믹서와 직접 연결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왜곡 없는 전송이 가능하며 스포츠 경기장과 같은 복잡한 RF 환경에서도 깨끗한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넓은 공간에서는 MTK982의 장거리 송신 기능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MPR50-IEM은 최대 10시간의 배터리 수명을 통해 긴 공연과 제작 일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MTK 98 송신기와 MPR 50im 스테레오 수신기는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사용하는 제품으로 안정적인 멀티밴드 및 광대역 필터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또한, MTP 60과 MTP 61 트랜스미터는 외부 간섭 방어 기능과 낮은 배터리 소비 전력, 블루투스 5 지원, 32비트 레코딩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더욱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MTH 610 핸드헬드 무선 마이크 송신기는 DPA 마이크 캡슐을 사용하여 음질 면에서 확실한 성능을 보장하고, 470MHz에서 1,260MHz까지의 광범위한 듀얼 밴드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국가별 규정을 충족할 수 있어 글로벌 이벤트에 적합하다. 또한 LoRa 및 Bluetooth를 통해 Wisycom BT 앱에 접속하여 실시간 파라미터 조정이 가능하여 압도적인 성능을 갖추고 있다. 사용도 간편하여 마이크 본체에 위치한 OLED 디스플레이와 조글 셀렉터, 두 개의 버튼을 사용해 간편하게 채널과 게인을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Wisycom의 핸드핼드 무선 마이크 송신기는 마이크 하부가 튀어나온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이는 해당 위치가 안테나가 위치한 곳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천적으로 그립할 수 없도록 설계됐다. 또한, LCB 61 도킹 시스템은 바디팩 4개와 배터리 8개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며, USB 및 인터넷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해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멀티 밴드 바디팩 트랜스미터 MTP60은 초소형 크기로 제작되어 의상이나 액세서리에 쉽게 숨길 수 있다. 알루미늄 바디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벼워 옷이 쳐지지 않고 선명한 오디오 품질과 안정적인 RF 성능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리고 와이드밴드 플러그온 트랜스미터 MTB40S는 핸드헬드 마이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DPA는 물론 Shure, Sennheiser, EV 등 다양한 제조사의 핸드헬드 마이크 캡슐과 호환 가능하다. 특히 Wisycom의 울트라 소닉 필터링이 적용됐으며, 내로우 밴드와 와이드 밴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DPA APAC의 Francis Lai Sales Manager 


세미나 현장에는 DPA의 다양한 제품이 전시되어 체험해 볼 수 있었다. 


DPA, 최고의 음질을 위한 기술과 혁신

세 번째 세션의 DPA Microphones의 브랜드 및 제품 발표는 DPA APAC의 Francis Lai Sales Manager가 맡았다. Francis Lai Sales Manager에 따르면, DPA는 1992년부터 펜슬형 마이크, 라발리에 마이크, 헤드셋 마이크 등 다양한 제품군을 확장해 왔다. 콘서트, 스튜디오, 예배당, 컨퍼런스, 극장, 방송 및 영화 제작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들 제품은 정밀한 보정을 거쳐 동일한 음향 특성과 품질을 유지하도록 만들어진다. 이를 통해 명료함, 일관성, 내구성을 갖춘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렇다면 목소리는 어떻게 생겨날까? 음성은 폐에서 공기가 나와 성대를 진동시키고 여러 공명 공간을 통해 고유한 음색을 형성한다. 이상적인 마이크 위치는 입 앞쪽이며, 이곳에서 모든 주파수가 고르게 전달된다. 이를 위해 DPA 마이크는 최적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보다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사운드를 확보할 수 있다. 

DPA의 마이크는 전자 회로가 없는 일렉트릿 콘덴서(electret condenser) 방식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4006 마이크 캡슐은 극한의 환경에서도 작동하며, NASA에서도 사용된 바 있다. 이 마이크는 보호 장치 없이 우주선 외부에 장착되었음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한 유일한 제품이다. 라발리에 마이크의 경우, 벨트팩과 함께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며, 가벼운 다이어프램을 통해 빠른 응답성과 왜곡 없는 깨끗한 소리를 제공한다. 생산 과정에서는 제품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밀한 튜닝이 이루어진다. 

핸드헬드 마이크를 설계할 때는 바람 소리(Wind Noise)와 파열음(Popping Noise) 방지가 핵심이다. 예를 들어, 150dB 이상의 강한 성량을 가진 가수의 목소리도 왜곡 없이 수음할 수 있도록 맞춤형 바람 터널에서 필터링 소재를 선정해 제작되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d:facto 4018 핸드헬드 마이크가 있으며, 모듈형 디자인을 적용하여 유연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브랜드의 무선 송신기와 호환되는 어댑터도 제공된다. 

헤드셋 마이크는 연극, 방송, TV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DPA는 4066, 4266, 4488 등의 다양한 헤드셋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제품은 특정 고객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2019년에 출시된 6066 시리즈는 새로운 헤드 프레임 디자인을 적용하여 착용감이 뛰어나고, 안정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강화된 제품이다. 

DPA의 라발리에 마이크 라인업은 4060, 4061, 4071 등 다양한 모델을 포함하며, 최근에는 새롭게 6061 모델이 추가되었다. 이 제품은 102dB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제공하며, 악기뿐만 아니라 보컬 및 연설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IP57 방수 및 방진 인증을 획득하여 극한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모든 마이크는 덴마크에서 수작업으로 조립 및 튜닝되며, 출하 전에 개별적으로 150회 이상의 보정 과정을 거친다. 더불어, DPA는 기존 4000 시리즈보다 60% 작은 3mm 캡슐을 탑재한 6003 시리즈를 개발했다. 크기가 작아졌지만 기존 제품과 동일한 음질을 제공하며, 특히 연극 및 방송 환경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라이브 공연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피드백(Feedback)과 게인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어레이, 룸 어쿠스틱, 마이크 배치가 주요 요인이며, 마이크를 적절히 배치하면 피드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DPA 4099는 무대에서 다수의 마이크를 사용하더라도 명확한 소리를 제공하며, 바이올린, 더블베이스, 드럼 등 다양한 악기에 사용될 수 있다. 근접 마이킹을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카디오이드 방식의 2012과 와이드 카디오이드 방식의 2015, 저주파 확장 마이크 4055 등의 모델이 개발되었다. 특히 4055 모델은 킥드럼과 어쿠스틱 기타와 같은 저주파 악기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한국에서는 4098 구즈넥 마이크가 교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 마이크를 교체하면 즉시 6dB의 게인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벽이나 천장에 설치하여 회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DPA는 최상의 음질과 신뢰성을 갖춘 마이크를 제공하며, 각 제품군은 라이브 공연, 방송, 녹음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 (주)사운드솔루션에 문의하면 된다. 


RCF의 아시아 태평양 영업을 총괄하는 Federico Lugli Manager


(주)사운드솔루션 김용락 이사가 RCF 스피커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RCF의 차세대 스피커 시스템이 선보이다 

RCF의 아시아 태평양 영업을 총괄하는 Federico Lugli Manager는 참석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며, RCF의 역사와 브랜드에 대해 소개했다. RCF는 1949년부터 프로 오디오 업계에서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모든 제품이 이탈리아에서 설계 및 제조된다. RCF의 제품군은 광범위하고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고급 시장을 겨냥한 프리미엄 제품으로서 지속적인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RCF는 작년에 새로운 브랜드인 TT+ Audio를 런칭했다. 이 브랜드는 독점적인 프리미엄 제품군에 정체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최상의 기술을 적용하고 최고 수준의 성능을 제공한다. TT+ Audio는 개별 앰프나 스피커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시스템 형태로 제공된다. 대표적인 제품군으로는 GTX 라인 어레이 모듈, GT 포인트 소스 스피커, GTS 서브우퍼, XPS MF, 그리고 TTR-L 시스템이 있다. 또한, 올해 ISE 바르셀로나 쇼에서 GTX 7C 카디오이드 라인 어레이 및 GTX 16C 서브우퍼를 새롭게 공개하기도 했다. 

TT+ Audio는 단순한 하드웨어 제공을 넘어 완벽한 시스템 환경을 지원하며, 리깅, 운반, 케이블링을 위한 다양한 액세서리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RDNet 매니지먼트 시스템, EASE 시뮬레이션, BIM 모델링 등을 지원하여 시스템 설계 및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RCF 제품 데모가 진행되었으며, (주)사운드솔루션 김용락 이사가 RCF 스피커 시스템을 소개했다. 김용락 이사에 따르면, RCF의 TT 시리즈는 최상위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TT 515A 모델은 소형이지만 강력한 성능을 제공하는 컴팩트 스피커다. RDNet DSP 컨트롤러와 파워 앰프가 내장되어 있으며, 5인치 네오디뮴 드라이버 2개와 1.7인치 컴프레션 드라이버로 구성된 투웨이 스피커다. 수평 100도, 수직 70도의 지향각을 제공하며, 좌우로 페이즈 플러그가 장착되어 있다. 그 아래에는 TT 808-AS 서브우퍼가 배치되어 있으며, 8인치 드라이버 2개로 구성된 제품이다. 이 제품에는 BMC(Bass Motion Control) 익스커션 매니지먼트 시스템이 적용되어, 기존 볼티지 리미터 방식과 달리, 주파수별 동적 변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드라이버의 실제 움직임을 제어하고 최적화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이어 EVOX 12 모델이 소개되었다. 이 모델은 8개의 4인치 풀레인지 드라이버와 15인치 우퍼로 구성된 2웨이 파워드 스피커이며, 1,400W D-클래스 앰프가 내장되어 있다. FIR 위상 컨트롤 기능이 적용되어 있으며, 이동식 디자인과 소프트 케이스 옵션이 있어 소규모 공연 및 이동형 PA 시스템으로 적합하다. 다음으로 NXL 24A MK2와 NXL 44A 모델이 소개되었다. NXL 24A MK2는 4개의 6인치 롱 드라이버와 1개의 3인치 컴프레션 드라이버로 구성된 컬럼 스피커로, FIR 위상 컨트롤 및 BMC 기능을 지원한다. 최대 음압 132dB를 제공하며, 2,100W D-클래스 앰프가 내장되어 있다. 한 단계 상위 모델인 NXL 44A는 135dB 출력과 3개의 10인치 드라이버, 1개의 3인치 고음 드라이버로 구성된 컬럼 스피커다. FIR 위상 컨트롤과 BMC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서브우퍼와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HDL-X 시리즈가 소개되었다. 이 제품은 1,400W 파워드 라인 어레이로, 6인치 저음 드라이버 2개와 1.7인치 고음 드라이버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며, 대형 공연장부터 체육관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FIR 위상 컨트롤 기술이 적용되어 정밀한 사운드 튜닝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미니멈 위상 시스템과 비교해 더욱 자연스럽고 선명한 소리를 제공한다. 

RCF 제품들은 FIR 필터를 활용하여 모든 주파수 대역이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기존 IIR 필터와 달리, FIR 필터는 주파수와 위상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튜닝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RCF의 모든 제품에 적용되어 있으며, 특히 크로스오버 구간에서 위상 왜곡 없이 깨끗한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세션 마지막으로, GTX 스피커 시스템이 소개되었으며, 제품 데모가 진행되었다. 전체 발표를 통해 RCF의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과 최신 오디오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RCF와 TT+ Audio의 Emanuele Morlini Pro Audio Product Specialist


호원아트홀에 설치된 TT+ Audio의 스피커 시스템을 직접 청음해 볼 수 있었다. 


TT+ Audio, 최고의 음향 시스템을 위한 노력 

마지막 세션은 TT+ Audio 스피커 시스템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발표는 RCF와 TT+ Audio에서 Pro Audio Product Specialist를 맡고 있는 Emanuele Morlini가 진행했다. Emanuele Morlini 스페셜리스트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RCF 아레나는 10만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아레나로, 유럽에서 치러지는 다양한 이벤트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곳에는 TT+ Audio의 GTX 시스템이 프로토 타입으로 설치되었으며, 메인 무대와 10개의 딜레이 타워가 설치되었으며, 설치된 스피커는 300여 통에 달한다. 

TT+ Audio는 패시브 스피커를 통해서 음향 솔루션을 제공한다. RCF는 액티브 스피커를 비롯하여 단품으로 제품을 제공하지만, TT+ Audio는 패시브 스피커로 이뤄지는 패키지 상품으로 제공하고 있다. RCF는 지난 수 년간 더욱 강력하고 사용자 친화적이고 확장성까지 갖춘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했다. 그 결과 효과적인 운송과 케이블링을 통해서 신속한 설계 배포 구성이 가능한 GTX 시스템을 공개하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먼저 시스템이란 무엇일까? 사전적인 의미로는 기계나 연결된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함께 작동하는 장비의 집합이다. TT+ Audio의 GTX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트랜스듀서와 스피커, 캐비닛, 앰프의 연결과 최적화된 조합을 통해서 사운드의 역동성과 품질 면에서 최대한의 결과를 추구하고 실현하겠다는 목표이다. 

RCF는 지금 XPS라는 새로운 코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새롭게 런칭했다. 이 XPS 앰프로만 GTX 시스템을 구동 가능하도록 설계되었고, 포괄적인 제어 및 보호회로를 갖춰서 성능 및 안정성을 보장한다. XPS는 지금까지 RCF가 진행했던 규모의 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일 것이다. 다음과 같은 기능이 XPS에 통합되었는데, 먼저 파워앰프다. 연속 출력이 굉장히 놀라운 값을 자랑하는데, 가용값은 경쟁사 대비 30% 더 높다. 두 번째로 통합된 기능은 프로세싱 체인으로 듀얼 샤크 DSP를 탑재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처리성능을 제공한다. 세 번째는 RCF 스피커 프리셋을 활용하여 쉽게 설정할 수 있는 프리셋과 소프트웨어다. 마지막으로 통합된 기능은 네트워킹으로서, DANTE I/O와 내장 스위치, 그리고 RDNet 5.0을 통한 이더넷 기반의 솔루션 구축과 관리가 가능하다. RDNet을 통해서 TT+ Audio와 RCF 모두를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TT+ Audio 제품도 관리할 수 있다. 

GTX 시스템에 적용된 기술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첫 번째는 가이드 라인은 '대칭성'이었다. 로고까지도 대칭성을 강조하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기반으로 구성요소를 재배치하고 덕트와 회로를 개선하여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었다. RCF는 1949년에 OEM 트랜스듀서 제조사로 시작하여, 트랜스듀서를 제조해 본 경험이 굉장히 많았기 때문에 GTX와 GTS 시스템에 새로운 트랜스듀서를 개발하여 탑재했으며, 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여 증가된 출력과 향상된 다이나믹 레인지를 제공한다. RCF는 세계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회사로, 모든 부품을 이탈리아에서 인 하우스로 공급할 수 있는 회사다. 

또한, 새롭게 개발된 19인치 우퍼는 44mm 보이스 코일 구조를 채택해 강력한 저음을 제공하며, 4단계 레이어로 이뤄진 알루미늄 코일을 사용하여 섬세한 음악적 표현이 가능하다. GTX 시스템은 설치와 연결 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첫 번째는 텐션 모드고, 두 번째는 컴프레션 모드다. 텐션 모드는 미리 설정한 각도로 자동 배열되는 방식이며, 한 명의 작업자만 있어도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컴프레션 모드는 조금 더 큰 규모의 스피커를 설치할 때, 스피커를 먼저 일자로 매달아 놓고 이후에 레버를 이용해서 스피커를 밀착시킴으로써 최종 형태를 만들 수 있다. TT+ Audio의 모든 제품은 극한의 환경과 이동이 많은 투어링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최초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철저하게 엔지니어링됐다. 그리하여 탁월한 일관성과 상호운용성을 갖추고 있어 프로 오디오 시스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GTX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완벽한 통합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이는 TT+ Audio의 철학이다. 

발표 말미에는 청중이 직접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도록 청음을 진행하고 나서, 질의응답이 이뤄졌다. 그리고 행사 마지막 순서로는 세미나 참가자를 대상으로 경품추천이 이뤄졌으며, 1등 당첨자에게는 Midas M32R이 제공되어 큰 관심을 모았다. 


세미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후, 참가자들은 함께 모여 기념사진을 남겼다. 



상호명 에프엔(FN) | 대표자 김진경 | 사업장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가운로1길 7 1006호 | 이메일 avmix@fndot.kr | 전화 82-2-475-8820 | 평일 10:00 ~ 18:00 / Off-time 12:00 ~ 13:00 (토/일/공휴일 휴무) | 개인정보책임자 김진경 | 호스팅서비스 아임웹 | 사업자등록번호 132-02-87759 |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4-다산-1007호

Copyright ⓒ avMIX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상호명 에프엔(FN) | 대표자 김진경 | 사업장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가운로1길 7 1006호
이메일 avmix@fndot.kr | 전화 82-2-475-8820 | 평일 10:00 ~ 18:00 / Off-time 12:00 ~ 13:00 (토/일/공휴일 휴무)
개인정보책임자 김진경 | 호스팅서비스 아임웹 | 사업자등록번호 132-02-87759 |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4-다산-1007호

Copyright ⓒ avMIX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