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lipsa - 모두를 위한 Immersive Audio

조회수 49

Dolby Atmos에 이은 차세대 3D 오디오의 등장

by 이무제, 자료제공: Google, 삼성전자

 


Immersive Audio, 특히 컨슈머 및 일반 미디어 배포용을 위한 포맷이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이제 Dolby Atmos만을 떠올린다. 최초로 상업화에 성공하고 수 백개 이상의 극장용 콘텐츠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한 Auro 3D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지원에 실패하고 프로덕션 단계에서 사용자층을 설득하는데 실패하여 이제는 점점 잊혀져가고 있다. DTS:X는 일부 극장용 콘텐츠 및 게임에서만 결과물이 등장했을 뿐이다. 즉 상업적으로 Dolby Atmos만 의미있게 남게 되었고 나머지는 사실상 실패했거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렇게 Dolby Atmos의 완벽한 승리로 끝난다면 Dolby Lab.의 입장에서는 행복한 만세를 불러도 될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기가 슬슬 감지되고 있다. 바로 Google, Netflix, Meta 등의 글로벌 기업과 반도체 및 미디어 하드웨어의 대표적 선두주자인 삼성전자가 AOM(Alliance for open media)을 결성해 대응하는 것이다. 이들이 내놓은 첫 번째 개방형 기술은 바로 Eclipsa이며, 이는 정확히 Dolby Atmos에 대응된다.

 


Google과 삼성이 손을 잡다

Google과 삼성은 매우 오랜 파트너로 애플에 정면으로 대항 및 경쟁이 가능한 유일한 조직이다. 애플의 아이폰이 전 세계를 지배하는 듯 했을 때 Google과 삼성은 손을 잡고 훨씬 폭넓은 호환성을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연합을 결성했으며, 이들의 성공적인 협력은 실제로 전 세계의 스마트폰 시장을 아이폰 Vs. 안드로이드폰으로 양분하는데 성공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차세대 미디어 경험에 있어서 Dolby Atmos와 애플이 만들어내는 시너지는 이제 다시 Google과 삼성의 2차 협력 체제를 만들게끔 했다. 그리고 태어난 결과물이 Eclipsa다.

사실, Dolby Atmos 출시 초기만 해도 성공이 불분명했다. 출시가 훨씬 빨랐던 Auro 3D는 비록 발전이 느릿하긴 했지만 이미 검증된 사운드 퀄리티로 인해 프로페셔널과 컨슈머 양 쪽에 있어 단단한 팬 층을 형성하는데 성공했다. Dolby Atmos는 말하자면 후발주자였다.

이 전세를 뒤집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애플뮤직에서의 ‘공간 음향’ 서비스의 제공이었다. 실제로 애플뮤직으로 음악을 들으면서 5.1.4라든가 7.1.4 등의 멀티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고 대부분 바이노럴 렌더링을 통해 이어폰 및 헤드폰 청취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애플 측은 자사의 독자적인 HRTF 체계를 사용하면서 Dolby Atmos의 코덱 및 멀티채널 오디오 전송에 관한 것만 빼서 쓰는 것에 가까웠으나 어쨌든 이 둘의 협력은 Dolby Lab. 측에 큰 호재를 가져다줬다. 이내 Netflix까지 이 판에 참여하면서 급기야는 음악 뿐 아니라 많은 영화 콘텐츠들이 Auro 3D가 아닌, Dolby Atmos로 제작되며 상황은 완전히, 그리고 빠르게 역전되었다. 이 역전에는 Auro 3D 측의 느린 대응으로 인해 블루레이에서 스트리밍으로의 전환이 심각하게 느렸던 것도 큰 원인이었다.

어쨌든 상황은 완벽히 Dolby Atmos의 독주로 굳어져가는 듯 했다. 하지만 Google과 삼성전자는 여기에 협력하여 한번 더 대응하기로 했다. Eclipsa는 기존의 Auro 3D, Dolby Atmos에 대응되는 또 하나의 Immersive Sound 포맷이다. 다른 점은 완전 개방형 기술로 로열티가 필요하지 않다. 물론 누군가는 여기에 투자를 해서 코덱, 스트리밍 방법론, 메타 데이터에 관한 것들, 바이노럴 렌더링, 스피커 레이아웃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이며, 결정적으로 콘텐츠 제작자를 위해 편리하고 호환성이 좋은 패너를 비롯한 툴, 그리고 인코더라든가 표준 제정 등을 해내야 할 것이다. 다행인 점은 Google과 삼성전자는 그 어느 단체나 기업보다 투자에 대한 여유와 여력이 넘쳐난다는 것, 그리고 ‘오픈미디어 연합’에 참가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Netflix나 Meta 등 그야말로 업계의 공룡들이기에 ‘규모의 경제’는 이미 실현되었다는 것.

 


제작에서 배포, 경험까지

Eclipsa Audio는 Google, Samsung 및 Alliance for Open Media(AOM)의 다른 주요 기여자가 개발한 오디오 형식인 Immersive Audio Model and Formats(IAMF)를 기반으로 하며 AOM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에 따라 출시되었다. IAMF는 오픈 소스이므로 Eclipsa Audio 파일은 다양한 워크플로를 지원하는 무료로 제공되는 오디오 도구를 사용하여 누구나 만들 수 있다.

오픈소스 레퍼런스 렌더러는 독립형 공간 오디오 재생을 위해 무료로 제공되거나, Binaural Web Demo Application에서 브라우저에서 바로 Eclipsa Audio 파일을 테스트할 수 있다. 2025년부터 크리에이터는 Eclipsa Audio 트랙이 있는 비디오를 YouTube에 업로드할 수 있다고도 한다. Eclipsa Audio를 도입한 업계 최초의 기업인 삼성전자는 Crystal UHD 시리즈부터 프리미엄 플래그십 Neo QLED 8K 모델까지 2025년 TV 라인업 전반에 이 기술을 통합하여 이 고급 기술을 경험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광범위한 옵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탑재한 제품군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Google과 삼성전자는 2025년에 Eclipsa Audio를 지원하는 제품에 대한 제조업체와 소비자에게 품질 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인증 및 브랜드 라이선스 프로그램을 출시할 예정이다.



다음 단계는?

Eclipsa Audio 파일 생성을 간소화하기 위해 이번 봄에 AVID Pro Tools Digital Audio Workstation용 무료 Eclipsa Audio 플러그인을 출시할 예정이다. 또한 2025년 후반에 Google Chrome 브라우저와 여러 제조업체의 TV 및 사운드바에 네이티브 Eclipsa Audio 재생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Eclipsa Audio 지원은 곧 출시될 Android AOSP 릴리스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Google과 삼성전자가 밝힌대로의 로드맵대로만 진행된다면 2025년은 누가 뭐래도 Eclipsa의 해가 될 것이다. 물론 애플의 독주는 단단하지만 Immersive Audio의 가장 큰 수요지인 영상 콘텐츠 분야에서는 애플TV는 압도적 위치를 차지하지 못한다. 오히려 AOM의 주요 참가자인 Netflix는 이 분야의 리더이며, 만약 Netflix가 이 게임에서 실제로 구체적인 결과물들을 내놓는다면 다른 경쟁 OTT도 Eclipsa를 채택할 확률도 있다. 여기에 또 다른 변수는 Youtube다. 물론 아직 Youtube는 대부분의 콘텐츠가 영화나 드라마보다는 좀 더 짧고 캐주얼한 콘텐츠로 가득차있다. 하지만 이미 Youtube는 유료 영화 콘텐츠 사업을 시작했으며, 여기에 적잖은 유저들이 이미 유입된 상태다. Youtube가 기존 콘텐츠에 Eclipsa를 적용하고 또 고품질 영화 및 드라마 콘텐츠를 확대한다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까 지켜보는 것도 2025년의 변화를 즐기는 한 방법이 될 것 같다.



상호명 에프엔(FN) | 대표자 김진경 | 사업장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가운로1길 7 1006호 | 이메일 avmix@fndot.kr | 전화 82-2-475-8820 | 평일 10:00 ~ 18:00 / Off-time 12:00 ~ 13:00 (토/일/공휴일 휴무) | 개인정보책임자 김진경 | 호스팅서비스 아임웹 | 사업자등록번호 132-02-87759 |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4-다산-1007호

Copyright ⓒ avMIX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상호명 에프엔(FN) | 대표자 김진경 | 사업장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가운로1길 7 1006호
이메일 avmix@fndot.kr | 전화 82-2-475-8820 | 평일 10:00 ~ 18:00 / Off-time 12:00 ~ 13:00 (토/일/공휴일 휴무)
개인정보책임자 김진경 | 호스팅서비스 아임웹 | 사업자등록번호 132-02-87759 |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4-다산-1007호

Copyright ⓒ avMIX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