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마이크란 무엇인가?
by 이무제, 자료제공: A49, 소니캐스트, NTi Audio Korea

측정 기준이 되는 레퍼런스 톤 발생 스피커는 Yahama HS5를 선택, 후면 포트를 막아 사용했다.
마이크로폰 측정 및 분석의 실제-측정용 마이크로폰 편
마이크 측정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 A49 연구실 내부 완전 무향실에서 이뤄졌다. 기준이 되는 마이크로폰은 NTi Audio M2010을 사용하였으며 오디오 분석기로는 NTi Audio Flexus FX100을 사용했다. 기준이 되는 레퍼런스 톤 발생을 위한 스피커는 Yahama HS5를 후면 포트를 막아 사용했다. 실 측정시 후면 포트의 저음이 전면 LF 트랜스듀서와 간섭하여 약 70Hz에서 강력한 콤필터링이 발생, 과도한 역보정이 일어날 위험이 있기 때문이었다.
FX100 오디오 분석기는 옵션으로 전동 회전 턴테이블을 추가할 수 있어서 NTi Audio의 협찬으로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었다. 전동 턴테이블은 NTi Audio의 측정 소프트웨어로 자동 제어되어 정축 응답 및 180° 축외 응답과 감도, 그리고 10° 단위로 360° 전 방향의 폴라패턴을 측정까지 완전히 자동화로 이뤄진다.
측정은 정축 및 180° 축외에서의 주파수 응답과 감도, 그리고 폴라패턴까지만 수행했는데, 실제로 마이크로폰을 구매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특성이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며, 셀프노이즈 측정 및 왜곡 특성, 최대 SPL 측정은 자체 노이즈 10dBA 이하의 완전 차음 환경, 그리고 150dBSPL까지 출력하는 강력한 기준 스피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난관이 있어서 진행하지 않았다.
이번 측정에서는 3종의 무지향성 측정용 마이크로폰을 측정 시료로 사용했는데, Behringer ECM8000,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그리고 Earthworks M30이다.
Behringer ECM8000


Behringer ECM8000 정축 응답 및 감도

Behringer ECM8000 180° 비축 응답 및 감도

ECM8000 Polar.png: Behringer ECM8000 폴라패턴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정축 응답 및 감도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180° 비축 응답 및 감도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폴라패턴
Earthworks M30


Earthworks M30 정축 응답 및 감도

Earthworks M30 180° 비축 응답 및 감도

Earthworks M30 폴라패턴
상기 측정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것은 정축과 180° 비축에서의 거의 흡사한 반응 및 감도로 무지향성 특성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으며 고음의 경우 다소 구경이 큰 ECM8000 및 SoundID Reference 마이크의 경우 1kHz부터 완만하게, 그리고 1/4인치급의 매우 작은 구경을 가진 M30의 경우 3kHz가 넘어가면서부터 고음이 증폭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증폭이나 주파수 불균형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일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정 데이터가 제공된다면 어떤 환경에서든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눈치빠른 독자들은 ECM8000과 SoundID Reference의 반응이 매우 흡사함을 알아챘을텐데, 이 둘은 실질적으로 같은 하드웨어를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SoundID Reference의 경우 시리얼 넘버를 통해 관리되며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보정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훨씬 신뢰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다. 더불어 Earthworks M30의 경우 제조단계부터 상당히 정밀한 보정이 이뤄진 마이크로폰이면서 종이로 된 보정 차트를 제공하기에 딱히 큰 보정 없이 측정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폴라패턴의 경우 마이크로폰의 구경을 포함한 물리적 크기의 영향이 직관적으로 보인다. ECM8000 및 SoundID Reference의 경우 실제 하드웨어가 같기에 매우 흡사한 폴라패턴을 형성하며 저음으로 갈수록 적잖은 지향성이 형성되는데 반해서 M30의 경우 소구경 마이크로폰답게 고음부터 저음까지 거의 균일하게 롤-오프되며 지향성 정도가 더욱 낮아 무지향성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할 점은 룸 측정시 마이크로폰의 방향이다. 많은 독자들이 제각기의 현장에서 측정용 마이크로폰을 스피커 정축에 두고 측정하는 사례가 많은데, 만약 90° 방향의 보정 데이터가 있다면 되도록 측정 마이크로폰은 위를 향하도록 바라보게끔 세워서 측정하는게 훨씬 믿을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Behringer ECM8000을 90°로 세운 후의 폴라패턴
좋은 마이크란 무엇인가?
by 이무제, 자료제공: A49, 소니캐스트, NTi Audio Korea
측정 기준이 되는 레퍼런스 톤 발생 스피커는 Yahama HS5를 선택, 후면 포트를 막아 사용했다.
마이크로폰 측정 및 분석의 실제-측정용 마이크로폰 편
마이크 측정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 A49 연구실 내부 완전 무향실에서 이뤄졌다. 기준이 되는 마이크로폰은 NTi Audio M2010을 사용하였으며 오디오 분석기로는 NTi Audio Flexus FX100을 사용했다. 기준이 되는 레퍼런스 톤 발생을 위한 스피커는 Yahama HS5를 후면 포트를 막아 사용했다. 실 측정시 후면 포트의 저음이 전면 LF 트랜스듀서와 간섭하여 약 70Hz에서 강력한 콤필터링이 발생, 과도한 역보정이 일어날 위험이 있기 때문이었다.
FX100 오디오 분석기는 옵션으로 전동 회전 턴테이블을 추가할 수 있어서 NTi Audio의 협찬으로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었다. 전동 턴테이블은 NTi Audio의 측정 소프트웨어로 자동 제어되어 정축 응답 및 180° 축외 응답과 감도, 그리고 10° 단위로 360° 전 방향의 폴라패턴을 측정까지 완전히 자동화로 이뤄진다.
측정은 정축 및 180° 축외에서의 주파수 응답과 감도, 그리고 폴라패턴까지만 수행했는데, 실제로 마이크로폰을 구매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특성이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며, 셀프노이즈 측정 및 왜곡 특성, 최대 SPL 측정은 자체 노이즈 10dBA 이하의 완전 차음 환경, 그리고 150dBSPL까지 출력하는 강력한 기준 스피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난관이 있어서 진행하지 않았다.
이번 측정에서는 3종의 무지향성 측정용 마이크로폰을 측정 시료로 사용했는데, Behringer ECM8000,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그리고 Earthworks M30이다.
Behringer ECM8000
Behringer ECM8000 정축 응답 및 감도
Behringer ECM8000 180° 비축 응답 및 감도
ECM8000 Polar.png: Behringer ECM8000 폴라패턴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정축 응답 및 감도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180° 비축 응답 및 감도
Sonarworks SoundID Reference 폴라패턴
Earthworks M30
Earthworks M30 정축 응답 및 감도
Earthworks M30 180° 비축 응답 및 감도
Earthworks M30 폴라패턴
상기 측정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것은 정축과 180° 비축에서의 거의 흡사한 반응 및 감도로 무지향성 특성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으며 고음의 경우 다소 구경이 큰 ECM8000 및 SoundID Reference 마이크의 경우 1kHz부터 완만하게, 그리고 1/4인치급의 매우 작은 구경을 가진 M30의 경우 3kHz가 넘어가면서부터 고음이 증폭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증폭이나 주파수 불균형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일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정 데이터가 제공된다면 어떤 환경에서든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눈치빠른 독자들은 ECM8000과 SoundID Reference의 반응이 매우 흡사함을 알아챘을텐데, 이 둘은 실질적으로 같은 하드웨어를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SoundID Reference의 경우 시리얼 넘버를 통해 관리되며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보정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훨씬 신뢰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다. 더불어 Earthworks M30의 경우 제조단계부터 상당히 정밀한 보정이 이뤄진 마이크로폰이면서 종이로 된 보정 차트를 제공하기에 딱히 큰 보정 없이 측정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폴라패턴의 경우 마이크로폰의 구경을 포함한 물리적 크기의 영향이 직관적으로 보인다. ECM8000 및 SoundID Reference의 경우 실제 하드웨어가 같기에 매우 흡사한 폴라패턴을 형성하며 저음으로 갈수록 적잖은 지향성이 형성되는데 반해서 M30의 경우 소구경 마이크로폰답게 고음부터 저음까지 거의 균일하게 롤-오프되며 지향성 정도가 더욱 낮아 무지향성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할 점은 룸 측정시 마이크로폰의 방향이다. 많은 독자들이 제각기의 현장에서 측정용 마이크로폰을 스피커 정축에 두고 측정하는 사례가 많은데, 만약 90° 방향의 보정 데이터가 있다면 되도록 측정 마이크로폰은 위를 향하도록 바라보게끔 세워서 측정하는게 훨씬 믿을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Behringer ECM8000을 90°로 세운 후의 폴라패턴